평창서 6m 초대형 구렁이 발견(강원도민일보) 평창군내 한 야산에서 길이 6m가 넘는 초대형 구렁이가 발견돼 화제다. 주민 지모(평창읍)씨에 따르면 최근 방림면의 한 야산에 일을 하러 갔다가 나무위에 올라가 쉬고 있던 대형 구렁이를 목격했다. 구렁이는 높이 15m 정도의 잣나무위에서 목격됐고 등은 검은색,뱃쪽은 황금색과 흰색의.. 한국의 생물 2016.06.29
아무르장지뱀 아무르장지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7506&cid=40942&categoryId=32590 ​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수출입허가대상야생동물입니다. 곤충류와 거미류를 잡아먹습니다. 매우 순하며 사람을 보면 금방 달아나지만 건드리지 않으면 자신을 해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한국의 생물 2016.06.22
꽃뱀(유혈목이) 충남 연무읍의 동창 문제일 씨로부터 꽃뱀(유혈목이)사진을 받았다. 늘 파충류나 양서류 사진을 보내줘 고맙다. 먼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모내기를 마친 논에 유영하는 꽃뱀. ㅇ예전엔 무자치(물뱀)이 논에 많았으나, 요즘은 꽃뱀이 많이 보이고 무자치가 줄어들고 있다. 환경공해에 무.. 한국의 생물 2016.06.14
청개구리의 잘못된 포접 연무읍의 동창 문제일 씨로부터 청개구리 사진을 보내왔다. 늘 파충류 사진을 보내줘 먼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이 청개구리 사진은 매우 독특하다. 개구리들은 보통 짝짓기 때에 후방위를 선택한다. 즉, 수컷이 암컷의 등 뒤에서 껴안는 방법을 택한다. 우리가 보통 포접이라고 부른다.. 한국의 생물 2016.06.06
퇴계 이황 선생묘 퇴계 이황 선생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24665&cid=42941&categoryId=42941 5월 10일 6년만에 퇴계 이황 선생의 묘를 참배했다. 육사 문학관에 다녀오는 길이었다. 이육사 시인은 퇴계 이황의 13대손이라고 한다. 윤여설의 지식인 클릭 http://kin.naver.com/profile/kthyys1019 푸른 엄지족 저자 윤여설 지.. 유물 및 유적답사 2016.05.27
능구렁이(길죽음) 1미터 정도 되는 능구렁이가 길에서 죽었다. 낮의 경우 전도주시를 하면서 뱀을 발견할 수가 있다. 사실! 도로를 달리다가 작은 물체만 타이어에 걸려도 느낌이 온다. 생명체를 살상하고 달리는 운전자의 기분도 좋지 많은 않을 것이다. 뱀중의 왕인 능구렁이, 능구렁이는 뱀들 중에서 힘.. 한국의 생물 2016.05.15
떼꾼의 삶(정선 아우라지에서) ​ ​ 떼꾼의 삶 ​ (정선 아우라지에서) - 윤여설 시인 골천과 송지천에 만나서 어우러진다고 해서 아우라지의 지명을 만들어낸 5월의 정선은 매우 화창하다, 어제 비가 내린 뒤라서 파아란 하늘과 구름, 그리고 수련한 산들이 어우러져 한폭의 잘 그려진 동양화를 자아내고 있.. 수필 2016.05.13
무자치(물뱀) 충남 연무읍에 거주하는 고향의 지인 문제일 님께서 물뱀 사진을 보내왔다. 내가 파충류에 관심이 많은 걸 알고 종종 양서,파충류의 사진을 보내준다. 문제일 님께 깊은 감사드립니다. 저 물뱀도 예전엔 매우 흔했으나 농약 등으로 서식지가 파괴돼서 요즘은 매우 귀한 뱀이 됐다. 무자치.. 한국의 생물 2016.05.07
자화상 인척의 결혼식에 참석하면서 예식장에서 딸아이가 한컷을 담아줬다. 저 모습은 분명히 내 모습인데 내 생각은 무엇이며 지금까지 어떻게 살아온 걸까? 잘 산 걸까? 그냥! 마냥! 쉬지 않고 열심히 산 건 사실인데, 사진을 보며 뒤돌아보니 아쉽고, 어쩐지 허전하다. 오늘은 어제의 연장이고.. 일상에서......! 2016.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