烏瞰圖 詩第九號 銃口 / 오감도 시 제9호 총구 이상 시인이 구보 작가의 결혼식에 남긴 방명록 烏瞰圖 詩第九號 銃口 / 오감도 시 제9호 총구 - 이상 시인 1934년 8월 3일 조선중앙일보 每日가치烈風이불드니드듸여내허리에큼직한손이와닷는다. 恍惚한指紋골작이로내땀내가스며드자마자쏘아라.쏘으리로다. 나는내消化器管에묵직한銃身을느끼고내.. 이상(김해경) 시인의 작품 2011.05.04
烏瞰圖 詩第八號 解剖 / 오감도 시 제8호 해부 경성공고 재학시절(가운데 사진)의 이상 烏瞰圖 詩第八號 解剖 / 오감도 시 제8호 해부 - 이상 시인 1934년 8월 2일 조선중앙일보 第一部試驗 手術臺 一 水銀途沫平面鏡 一 氣壓 二倍의平均氣壓 溫度 皆無 爲先麻醉된正面으로부터立體와立體를위한立體가具備된全部를平面鏡에映像식힘. 平面鏡에水銀.. 이상(김해경) 시인의 작품 2011.05.02
烏瞰圖 詩第七號 / 오감도 시 제7호 천재시인 이상의 마지막 자화상으로 알려져온 그림. 이 그림 속 주인공이 이상이 아니라 이상의 절친한 친구였던 소설가 구보 박태원이라는 설도 있다. 烏瞰圖 詩第七號 / 오감도 시 제7호 - 이상 시인 1934년 8월 1일 조선중앙일보 久遠謫居의地의一枝·一枝에피는顯化·特異한四月의花草·三十輪·.. 이상(김해경) 시인의 작품 2011.05.02
烏瞰圖 詩第六號 / 오감도 시 제6호 (족두리를 쓰고 있는 이상 - 어느 결혼식 축하하객으로 참석한 듯하다) 烏瞰圖 詩第六號 / 오감도 시 제6호 - 이상 시인 1934년 7월 31일 조선중앙일보 鸚鵡 ※ 二匹 二匹 ※ 鸚鵡는포유류에속하느니라. 내가二匹을아아는것은내가二匹을아알지못하는것이니라. 물론나는희망할것이니라. 앵무 二匹 .. 이상(김해경) 시인의 작품 2011.04.30
烏瞰圖 詩第五號 / 오감도 시 제5호 (경성공고 교련 시간의 이상) 烏瞰圖 詩第五號 / 오감도 시 제5호 - 이상 시인 1934년 7월 28일 조선중앙일보 某後左右를除하는唯一의痕跡에잇서서 翼殷不逝 目不大覩 반矮小形의神의眼前에我前落傷한故事를有함. 臟腑라는것은浸水된畜舍와區別될수잇슬는가. 모후좌우를 제하는 유일의 흔적에 있어서.. 이상(김해경) 시인의 작품 2011.04.29
烏瞰圖 詩第四號 / 오감도 시 제4호 (이상 시인의 유필원고 오감도 시 제 4호) 烏瞰圖 詩第四號 / 오감도 시 제4호 - 이상 시인 1934년 7월 28일 조선중앙일보 患者의容態에관한문제. ㆍ0987654321 0ㆍ987654321 09ㆍ87654321 098ㆍ7654321 0987ㆍ654321 09876ㆍ54321 0.. 이상(김해경) 시인의 작품 2011.04.28
烏瞰圖 詩第三號 / 오감도 시 제3호 이상 시인은 그림을 잘 그렸고 매우 좋아했다. 烏瞰圖 詩第三號 / 오감도 시 제3호 - 이상 시인 ( 1934년 7월 25일 조선중앙일보) 싸흠하는사람은즉싸흠하지아니하던사람이고또싸흠하는사람은싸흠하지아니하는사람이엇기도하니까싸흠하는사람이싸흠하는구경을하고싶거든싸흠하지아니하던아니하던사.. 이상(김해경) 시인의 작품 2011.04.27
이상(김해경) 시인 연보 *1910 (1세) 9월23일(음력 8월20일) 서울 종로구 사직동에서 부 김연창(金演昌)과 모 박세창(朴世昌) 사이의 장남으로 출생. 본명은 해경(海卿). 본관은 강릉. *1912 (3세) 부모를 떠나 아들이 없던 백부 김연필(金演弼)댁에서 24세까지성장. 5세에서 7세까지 백부로부터 한문을 수확함 *1917 (8세)4월, 누상동에 있.. 이상(김해경) 시인의 작품 2011.04.27
烏瞰圖 詩第一號 / 오감도 시제1호 - 이상 시인 烏瞰圖 詩第一號 / 오감도 시제1호 - 이상 시인(본명: 김해경) 十三人의兒孩가道路로疾走하오. (길은막다른골목길이適當하오.) 第一의兒孩가무섭다고그리오. 第二의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第三의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第四의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第五의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第六의兒孩도무섭.. 이상(김해경) 시인의 작품 2011.04.25
매우 척박한 환경에서 자라는 올챙이들!(북방산개구리올챙이) 강원대 양서파충류연구실 http://cafe.naver.com/koreaherpetology/856 현재 외부와는 고립상태의 올챙이들이지만 바닥에서 물이 스며나와 생존엔 지장이 없는 것같다. 아파트트 옆을 흐르는 작은 개천에 올챙이들이 살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로 포장되다시피한 바닥의 토사가 쌓인 좁은 공간에서 성장하고 있.. 한국의 생물 2011.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