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1

[스크랩] 어진(御眞)?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윤여설 2010. 4. 28. 06:08

 

 

어진(御眞)?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안녕하세요~! 문화재청 블로그기자단의 홍상용입니다.

궁궐 속 숨은 이야기 두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어진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그럼 어진에 한번 빠져 봅시다~!

 

 

1. 어진(御眞)은 무엇일까?

 

  어진(御眞)을 한자로 풀이하자면 진실된 임금님의 모습입니다. 진실된 임금님의 모습이라고 하면 사진기가 들어오기 이전까지는 그림으로 그려진 임금님의 모습을 말하고, 사진기가 도입되고 사진으로 찍힌 고종, 순종의 모습도 어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 어진은 왜 그렸을까?

 

  어진을 그린 것은 선왕의 모습을 그림으로 남겨 제사를 지내기 위한 목적이었습니다. 유교에서는 본래 위폐라는 것을 모셔 그것에 제사를 지내지만 우리나라는 불교의 영향으로 통일신라 때부터 조상의 모습을 그려 제사를 지냈답니다. 그 중 임금의 모습을 그린 것이 어진입니다. 

 

 

 

3. 누가 그렸을까?

 

  조선시대 어진은 나라에서 관리하는 화가들의 관청인 도화서에서 그린답니다. 도화서에는 많은 화공 즉 화가들이 있었고, 이 중에서 몇 명만을 선발해서 그렸다고 합니다. 이 어진을 그리는 어진화사에 뽑힌 화원들은 어진이 완성되면 벼슬과 임금이 하사하는 선물들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어진을 비롯한 초상화를 그릴 때에는 전신사조(傳神寫照)라고 하여 그림 속에 그 사람이 정신이 드러날 수 있도록 그렸답니다.

  

 

어진을 그린 화공들이 있는 도화서에 대해 알아봅시다.

도화서는 조선시대 그림 그리는 일을 담당하던 관청으로 예조에 속해 있었습니다. 도화서에는 어진 외에도 나라에 쓰이는 각종 그림을 그렸습니다. 도화서에서 도(圖)는 도해나 도설에 필요한 그림으로, 관원들이 입는 복식 · 왕실에서 사용하는 도자기나 그릇에 들어가는 그림· 수레나 도량형기와 같은 실물 그림 등과 조하도 · 배반도 · 각종 찬실도 등 의례와 관련된 그림을 말하며, 화()는 왕실의 초상화와 같은 인물 · 산수 · 화조 등의 회화를 뜻합니다.

 

 

4. 어디에 보관하나요?

 

  어진을 완성하게 되면 왕에게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궁궐 내 선원전에 모셔둡니다. 선원이라는 말은 "아름다운 옥의 근원"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조상을 뜻하는 말입니다. 선원전에 어진을 모셔두고 그 곳에서 제사를 지낸답니다. 임금 중 조선을 건국한 태조 어진은 선원전 외에도 여러 곳에 모셔두었습니다. 이씨의 본관인 전주 경기전, 태조의 고향인 함흥 본궁 등 8곳에 보관하였다고 합니다.

  

 

 

5. 어진은 얼마나 남아 있나요?

 

  현재 고종과 순종을 제외하고 남아있는 어진은 4점으로 태조, 영조, 익종, 철종의 어진입니다. (영조는 즉위 이전의 초상이 남아 있습니다.) 본래 광복인 1945년까지 대부분의 어진이 남아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6.25전쟁 당시에 이 어진을 갖고 부산으로 피난 당시에 보관하고 있던 창고가 폭격을 맞아 대부분의 어진이 불에 타 3점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이 밖에도 고려 공민왕의 어진이 종묘에 모셔져 있는데, 공민왕과 함께 노국공주가 같이 그려진 것이 특징입니다.

 

 

 

남겨진 어진들...

 위에서 말한 대로 조선시대의 어진은 고종과 순종의 어진을 제외하고 4점이 남아 있습니다. 익종 어진을 제외하고 모두 보물로 지정 되어 있답니다. (태조 - 보물 제931호, 영조 - 보물 제932호, 철종 - 보물 제1492호) 익종의 어진은 훼손이 심하여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보물로 지정된 3점의 어진 중 태조, 영조의 어진은 모두 고종 때 그려진 것이랍니다. 어진 같은 경우는 오래되어 그림이 상했을 때는 원래의 어진을 본으로 삼아서 새로 그리게 되는데 바로 두 어진이 고종 때 새로 그려진 것이랍니다.

 

 

 

6. 새로운 어진은 없나요?

 

  우리 정부에서는 선현들의 동상 · 영정의 난립을 예방하고자 표준영정이라는 것을 제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78분의 표준영정이 지정되었는데 그 중 조선시대의 왕에는 세종대왕과 정조의 어진이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선현의 표준영정(http://portrait.mct.go.kr/)사이트에 방문하시면 다양한 영정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제 어진에 대한 궁금증이 어느 정도 풀리셨나요? 어진에 대해 궁금하신 것이 더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보는 즉시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다음 "궁궐 속 숨은 이야기"도 기대해 주세요. ^^

 

 

 

 

▲ 제2기 문화재청 대학생 블로그기자단 홍상용 기자

 

출처 : 환영합니다~ 문화재청 블로그입니다~
글쓴이 : 문화재사랑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