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마을 공원에 서 있는 이조년의 시비이다.
옛시조에는 제목이 없다.
편의상 다정가로 붙인 것이다.
매우 서정성이 뛰어난 작품이다.
또한 서울 하계동에 있는 최초의 한글고비는 이조년의 후손인 이문건이 아버지 이윤탁의
묘가 훼손되는 것을 막으려고 최초로 한글로 비문을 적었다.
이화에 월백하고 은하는 삼경인제
일지춘심을 자규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양하여 잠못이뤄 하노라!
작가소개와 작품해설
이조년(李兆年1269년 ~ 1343년)
이조년은 고려 후기 때의 문신(文臣)으로, 성품이 강직하여 충혜왕의 음탕함을 여러 번 충간하였으나 왕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벼슬을 사직하였다고도 한다.
이 작품은 봄날 밤의 애상적인 정취를 잘 표현하고 있다. 초장에서는 시각적인 이미지가 부각되어 있다. 배꽃이 활짝 핀 어느 봄날 밤, 하늘에는 달이 활짝 뜨고 은하수가 흐르고 있었다. 달빛이 하얀 배꽃에 비치어 더욱 아련하게 보이는 고즈넉한 풍경을 묘사하고 있다.
중장에서는 시각적 이미지가 청각적 이미지로 전환되고 있다. 달빛에 배꽃이 더욱 환한 밤, 두견새의 울음소리가 들려온다. 두견새가 이 밤에 느끼는 봄의 정취를 알고 우는 것은 아니겠지만 두견새의 울음소리로 봄날 밤의 애상적 정취는 더 깊어진다. 종장은 지은이의 입장과 두견새의 입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지은이에게는 아름답고 고즈넉한 봄밤을 홀로 두기 아쉬운 마음에 잠 못 들고 서성이며, 두견새는 봄밤에 자지 않고 혼자 서성이는 지은이를 홀로 두기 아쉬운 마음에 자지 않고 울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를 생각하는 다정한 마음이 병이 되어 잠 못 들고 있는 것이다. 봄날 밤의 아름다운 풍경을 잘 표현한 이 작품의 주제는 봄밤의 애상적인 정취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 작품은 지은이가 충혜왕에게 충간하다가 벼슬에서 물러난 후 왕을 걱정하며 그리는 심정을 노래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청구영언(靑丘永言)』, 『가곡원류(歌曲源流)』,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 등에 실려 있으며, 시조집마다 표기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원문은 『청구영언』의 표기를 따랐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화에 월백하고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 한국고전, 2013. 11., 박인희, 강명관, 위키미디어 커먼즈)
'일상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원고석정 꽃밭 (0) | 2021.09.26 |
---|---|
양주 나리공원 (0) | 2021.09.21 |
황금 모피를 찾아서 - 오세영 시인(실크로드편) (0) | 2021.09.13 |
새벽은 밝고 상서롭다 - 정연덕 시인 산문집 (0) | 2021.09.11 |
황조롱이는 왜? 내 방을 기웃거릴까??? (0) | 2021.09.05 |